경상북도 사찰 탐방: 김천 황악산 직지사의 건축미와 역사, 그리고 전해 내려오는 흥미진진한 설화를 한눈에 만나보세요.
3. 직지사 (直指寺)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본사인 직지사는 소백산맥에서 힘차게 솟아오른 황악산(黃岳山)의 동남쪽 산자수명(山紫水明) 한곳에 자리한 사찰로, 신라 눌지왕 2년(418년)에 고구려에 온 승려 아도화상이 창건하였습니다. 그 후로 선덕여왕14년(645년) 자장율사에 의해, 경순왕 4년(930년) 천묵대사에 의해 2번의 중수가 이루어졌고, 고려 태조 19년(936년)에 능여(能如)가 고려 태조의 도움을 받아 중건하였으나, 임진왜란에 거의 불타버려 조선광해군2년(1610년)에 복구가 이루어졌습니다. 직지사란 이름은 아도화상이 선산 도리사에서 손가락으로 황악산을 가리키며 '저 산에도 좋은 절터가 있다'고 해서 ‘직지’라는 사명이 붙게 되었고, 고려 태조 19년(936년)에 능여대사(能如大師)가 절을 중건할 때 자를 쓰지 않고 직접 자기 손으로 측량하여 직지사라는 이름이 붙었다는 설도 있습니다. 구미 도리사에 이어 신라에서 2번째로 창건된 천년고찰 직지사는 해동의 중심부 황악산에 자리잡은 동국제일가람(東國第一伽藍)이라 전해오며, 서울· 부산· 동해까지 아우르는 한반도 교통의 요충지로, 예로부터 길상지지(吉祥之地)로 전해져 내려오는 곳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신라 후기 천묵대사가 왕실의 지원으로, 해인사의 고려대장경에 앞서 『금자대장경(金字大藏經)』을 완성하였으며, 조선시대에는 학조대사와 사명대사가 머물다 가신 유서 깊은 가람입니다. 경상· 충청· 전라를 한눈에 굽어보는 황악산(黃岳山)의 맑은 계곡을 따라 자리 잡은 전각들은 과거와 현재의 가람이 공존하는 독특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김천 8경에 드는 직지사 단풍나무길이 인상적입니다. 직지사 본·말사의 주요 문화재를 전시하는 직지성보박물관은 지정 문화재를 포함하여 다수의 불교경전과 유물이 보존되어 있어 학술적 가치가 뛰어납니다.
◆직지사는 임진왜란 시 의승병장으로 활약한 사명대사와의 인연으로 조선의 억불정책 하에서도 사세를 이어온 사찰입니다. 사명대사가 직지사에 출가한 이야기입니다. “조부가 관찰사를 역임한 밀양 최고의 명문가 후손으로 울산군수 재임당시 비리에 연루되어 김천으로 유배를 와있던 당시 황희(黃喜)정승의 현손인 황여헌 문하에서 과거공부를 위해 13세때부터 직지사 인근 마을에 머물고 있었다. 그러던 중 역병이 돌아 15세 때에 모친을 여의고 16세 때에 부친을 거듭 여의게 되자 공부에 뜻을 접고 방황을 거듭한다. 마침 직지사에 놀러왔다가 천왕문 앞 은행나무 아래 돌을 발견하고 앉았다가 낮잠이 들었는데 공교롭게도 같은 시간대에 대웅전에서 참선을 하던 주지 신묵대사도 낮잠이 들었다. 신묵(信黙)은 꿈에 황룡이 나타나 천왕문 앞 은행나무를 감싸고 있는 기이한 광경을 보고 잠에서 깨어 그 자리로 가보니 한 아이가 돌 위에서 낮잠을 자고 있었다. 양친을 여의고 괴로워하던 소년은 “천하에 고아된 몸이 과거가 무엇이며 출가가 무엇이겠습니까?” 하고 출가를 소원하니 신묵은 이 소년이 자신의 꿈에 본 황룡임을 직감하고 아이를 거두어 제자로 삼았다.” 사명당은 32세에 봉은사 주지로 천거되었으나 이를 사양하고 묘향산 보현사로 가 사명대사 휴정(休靜)의 제자가 되었고,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의승병을 조직해 승병장뿐 아니라 외교관으로 3천명의 포로들을 구출하는 등 명승을 떨쳤습니다. 직지사는 대웅전 옆에 사명각을 지어 현재까지도 기일마다 제사를 봉행하고 있으며, 출가의 인연이 있는 천왕문 앞 돌은 그 자리에 보존하고 있습니다. 김천시에서는 직지사가 있는 황악산에 ‘사명대사길’이라는 등산로와, ‘사명대사 공원’을 조성하여 사명대사의 뜻을 기리고 있습니다.<지역N문화>
◆직지사에는 금강문 건립과 관련된 슬픈 설화가 전해집니다. 옛날, 한 승려가 전국을 돌아다니다 경상남도 합천에 도착하였는데, 그곳은 예로부터 대처승 마을로 촌장이 그를 보는 순간 예사 사람이 아니라고 여겨 사위로 삼기로 했습니다. 그는 비구승(比丘僧)이라며 결혼하기를 반대했으나 촌장은 바랑과 승복을 빼앗고 강제로 결혼시켰습니다. 아들을 낳고 살기를 삼 년, 아내는 장삼과 바랑이 있는 곳을 가르쳐 주었고, 다음날 아침 눈을 뜨니 옆자리에는 남편이 없었습니다. 그 후 부인은 남편을 찾아 전국의 사찰을 모조리 다니다 어디선가 그와 비슷한 승려가 직지사로 갔다는 소문을 듣고 직지사로 향했습니다. 그가 장계다리 아래 방앗간 집에 묵고 있음을 알게 된 부인은 그 집에서 기다렸지만 그는 사흘이 넘도록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결국 남편을 찾아 직지사로 갔고, 일주문을 지나 지금의 금강문 자리에 이르렀는데 갑자기 피를 토하고 죽어 버렸습니다. 그 후 매년 부인이 죽은 날이 되면 직지사의 승려들이 누가 부른 듯이 쫓아 나가 부인이 죽은 자리에서 피를 토하고 죽어나가기 시작했습니다. 이에 직지사에서는 부인의 원귀를 위로하고자 그 옆에 사당을 짓고 그녀의 원혼을 달래기 위해 매년 제사를 올렸습니다. 어느 해 이름 있는 고승이 찾아와 사찰 안에 사당이 웬 말이냐고 나무라니, 승려들은 사당을 세우게 된 사유를 얘기했고, 고승은 “그러면 이곳에 금강문을 지어 금강역사로 하여금 여인의 원혼을 막도록 하라.”고 하여 지금의 금강문이 세워졌다고 합니다. 원혼을 달래기 위한 사당 대신 금강문을 세워 금강역사로 하여금 원혼을 막았다는 내용은 민간 신앙보다는 불교가 위에 있음을 보여 주는 연기담입니다.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
◆주요 전각 및 불상◆
대웅전 大雄殿 |
앞5칸·옆3칸 팔작지붕; 보물1576호; 조선전기에 대웅대 광명전이라 칭하였던 2층 건물로, 앞에 2개의 삼층석탑(도천사지동·서3층석탑)이 놓여있는 2탑식 중정형 가람배치이며, 내부 수미단에는 본존인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좌우협시불인 약사여래·아미타불과 함께, 보물670호인 영산회상도·약사불회도·아미타불회도를 후불탱화로 봉안하고 있습니다. 또한 대웅전 중건 당시의 벽화로 구름위의 선인(仙人) · 용을 탄 관세음보살 · 문수동자상이 그려져 있습니다. ※ 도천사지동·서3층석탑(보물606호): 문경에서 옮겨온, 남북극시대 통일신라 시기에 조성된 2기의 석탑으로 대웅전 앞에 위치합니다. (한 사찰에 같은 양식의 석탑 3기가 함께 세워진 경우는 드문 예입니다.) |
관음전 觀音殿 |
앞3칸·옆3칸 팔작지붕; 원통전·대비전이라고도 하며, 모든 중생에게 불성이 내재해 있음을 나타내는 연꽃을 들고 미소를 짓고 있는 관세음보살과 협시 남순동자·해상동자가 봉안되어 있습니다. |
사명각 四溟閣 |
앞3칸·옆2칸 팔작지붕; 임진왜란 때 승병장으로 활약한, 조선중기 고승인 사명대사 유정을 기리는 전각입니다. |
응진전 應眞殿 |
앞3칸·옆2칸 맞배지붕; 나한전이라고도 하는 전각으로, 주존인 석가여래와 좌우협시 미륵보살·제화갈라보살이 삼존불을 이루고 있으며 ,좌우로 석가모니의 제자 16 나한이 모셔져 있습니다. [나한: 석가모니 부처님의 많은 제자들 중 상수제자 16인. 일찍이 말세의 중생에게 복덕을 성취하게 하고 정법으로 인도하겠다는 원을 세운 성자들로, 많은 영험담과 함께 민간에서 신봉되어 나한 신앙을 형성] |
명부전 冥府殿 |
앞3칸·옆3칸 팔작지붕; 시왕전 또는 지장전이라고도 하며, 지장보살을 중심으로 도명존자·무독귀왕이 협시해 있고, 진관대왕·초강대왕·송제대왕·오관대왕·염라대왕·변성대왕·태산대왕·평등대왕·도시대왕·전륜대왕 등 시왕이 나열해 있습니다. [명부전은 저승의 유명계를 상징하는 전각으로, 세상 모든 중생과 지옥의 중생들까지 구제하려는 지장보살을 모십니다.] |
약사전 藥師殿 |
앞3칸·옆2칸 맞배지붕; 동방의 유리광정토를 표출시킨 법당으로, 질병과 죽음을 막아주는 약사여래가 봉안되어 있습니다. 통일신라 양식인 석조약사여래좌상(보물319호)은 성보박불관에 모셔져 있습니다 . [약사여래: 아미타신앙이 사후의 신앙을 기본으로 하는 반면에 약사여래신앙은 현실적 이익을 바탕으로 하므로 약사여래는 인간을 질병으로부터 보호하여 줄 뿐만 아니라 죽음을 물리치는 힘을 갖고 있는 부처로 대중의 신앙대상이 되었으며, 왼손에는 약사여래의 특징적 모습인 약합을 들고 있습니다.] |
비로전 毘盧殿 |
앞7칸·옆3칸 맞배지불; 주불인 비로자나불과 좌우협시로 약사불과노사나불을 모신 전각으로, 뒤로는 과거·현재·미래의 삼천불 중 현겁 천불상을 모시고 있어서 천불전이라고 하며, 천불상 중 옥동자를 낳게 한다는 전설의 벌거벗은 동자불도 있습니다. 앞에는 도천사지 3층석탑과 더불어 수령 500년이 넘는 측백나무가 있습니다. ※ 도천사지3층석탑 (보물607호)문경에서 옯겨온, 통일신라 남북극 시대 양식으로 된 석조 불탑으로, 비로전 앞에 위치합니다. |
성좌각 星座閣 |
앞3칸·옆2칸 익공 겹처마 팔작지붕; 직지사의 삼성각으로, 주존인 칠성탱화를 중심으로 좌에 독성탱화·나반존자상, 우에 산신탱화가 있습니다. [삼성각:재물·수명·복을 관장하는 산신 · 칠성 · 독성을 함께 봉안하는 전각] |
천불선원 千佛禪院 |
극락전에 개원한 비구 선원으로, 기초선원에 다니는 승려는 참가가 어려우며, 극락전과 요사채인 서상당(西上堂), 향경다실(香經茶室)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극락전 極樂殿 |
앞7칸·옆4칸 팔작지붕; 서전암으로 불리던 곳으로, 천불선원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연꽃으로 장식된 법당 내부에는 아미타불과 좌우 협시보살인 관세음보살·대세지보살이 봉안되어 있습니다. |
청풍료 淸風寮 |
앞9칸·옆5칸 맞배지붕; 금단청 건물로, 성보유물전시관인 박물관으로 사용중입니다. |
설법전 說法殿 |
앞11칸·옆3(2:삼층)칸 팔각지붕; 100평 규모의 식당 (1층), 스님 방사 및 템플스테이 숙소 3개(2층), 설법전 법당 3층:템플스테이 운영 공간 및 숙소)의 시설을 갖추고 있는,최대 100명 수용 가능한 규모의 템플스테이 운영 공간입니다. |
남월료 南月寮 |
앞11칸·옆2칸 팔작지붕 2층 건물; 설법전 옆에 위치한 강당으로, 직지사 승가대학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
만덕전 萬德殿 |
ㄷ자형의 83칸 겹처마 팔작지붕; 강당 : 200평규모의 대형 강당, 80평규모 소강당 (소강의실 및 숙소사용가능), 35평 규모 회의실(숙소 사용가능), 남ㆍ녀 세면실 각 25평(만덕전 뒤쪽) 등을 갖춘 공간으로, 불교의식 또는 대중 법회가 열리는 곳입니다. |
조사전 祖師殿 |
앞7칸·옆3칸 맞배지붕; 본래 영자전으로 불렸으며, 조선 후기까지 능여조사와 사명대사 등 직지사의 역대 고승 16명의 영탱을 봉안하고 있었다가, 임진왜란 때 소실 후 개축된 전각입니다. |
명월당 明月堂 |
앞9칸·옆3칸 팔작지붕; 화려한 금단청을 하였고 접객실과 시자실을 겸하여 잘 정비된 건물로, 회주실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
범종각 梵鐘閣 |
앞3칸·옆2칸 익공 겹처마 팔작지붕; 대웅전 우편; 안에는 범종(梵鐘) · 법고(法鼓) · 목어(木魚) · 운판(雲板) 등의 사물(四物)이 봉안되어 있습니다. |
만세루 萬歲樓 |
앞5칸·옆3칸 팔작지붕; 대웅전 앞쪽; 황악루와 함께 직지사 2개 누각 중 하나로, 마지막 삼문이며, 대웅전에 이르는 입구 역할을 합니다. 여러 차례 화재가 발생하자 중건할 때 황악루와 만세루의 현판을 바꾸었다는 이야기도 전합니다. |
천왕문 天王門 |
앞3칸·옆3칸 맞배지붕; 보물; 해탈에 이르는 삼문의 하나로, 직지사 천왕문은 전국에서 2번째로 큰 규모이며, 나무 뼈대에 흙을 붙여 제작한 소조사천왕상(보물)이 봉안되어 있습니다. 사명대사가 누웠던 바위는 천왕문과 금강문 사이에 있습니다. |
금강문 金剛門 |
앞3칸·옆1칸 맞배지붕; 사적에는 해탈문으로 기록된 문으로,사찰을 수호하는 수문 신장인 밀적금강과 나라연금강이 모셔져 있으며, 대양문에 이미 금강역사가 그려져 있어 금강역사가 안 계십니다. |
대양문 大陽門 |
앞3칸·옆2칸 주심포 맞배지붕; 직지사에만 있는 문으로, 양쪽 문에 금강역사도가 그려져 있어 사찰의 대문 역할을 합니다. [본래는 잡귀를 물리쳐 사찰을 수호하는 금강역사가 그려진 금강문이 사찰의 대문 역할을 합니다.] |
일주문 一柱門 |
1칸 팔작지붕; 사적에 조계문이라 나오며, 자하문으로도 불림; 사찰에 들어서는 첫 번째 산문으로, 직지사는 일주문만 지나면 바로 가람으로 들어갈 수 있는 구조입니다. 이는 교종 사찰 불국사처럼 백운교, 청운교를 거쳐 자하문을 지나야 하는 것과 달리 깨달음에 이르는 과정이 간소화된 형태로, 선종 사찰의 특징을 보여줍니다. 황악산직지사(黃嶽山直指寺) 편액은 조선후기 명필 송하 조윤형의 친필이라고 합니다. |
템플스테이 | 2002년 월드컵 당시 외국인을 위한 ‘한국불교전통문화체험’ 프로그램과 함께 시작되었으며, 단기체험· 수행형· 학생대상· 어린이 영어 템플스테이까지 다양한 프로그램을 갖추고 있습니다. |
암자 | 명적암·중암·운수암·백련암· 은선암· 북암·삼성암· |
◆주소: 경상북도 김천시 대항면 직지사길 95(운수리 216번지), 전화번호: 054-429-1716
♣이상으로 경상북도에서 꼭 가봐야 할 사찰 6곳 중 김천 황악산 직지사에 대한 정보를 안내해 드렸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속대백과사전, 한국불교문화포털, 국가유산포털,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디지털김천문화대전, 역사문화유산, 지역N문화, 불교신문, 법보신문, 현대불교, 네이버지식백과/사전, 위키피디아, 직지사 홈페이지>
'정보365 > 한국사찰 탐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상북도에서 꼭 가봐야 할 사찰 6곳: 1.불국사 (2) | 2025.08.01 |
---|---|
경상북도에서 꼭 가봐야 할 사찰 6곳: 2.부석사 (2) | 2025.08.01 |
경상북도에서 꼭 가봐야 할 사찰 6곳: 4.은해사 (1) | 2025.08.01 |
경상북도에서 꼭 가봐야 할 사찰 6곳: 5.기림사 (2) | 2025.08.01 |
경상북도에서 꼭 가봐야 할 사찰 6곳: 6.봉정사 (1) | 2025.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