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365/한국사찰 탐방

전라남도에서 꼭 가봐야 할 사찰 6곳: 6.보림사

by 지오1 2025. 9. 3.
반응형

전라남도의 천년고찰을 찾아 떠나는 시간 여행. 장흥 가지산 보림사의 역사와 가람배치, 보존된 문화유산, 흥미로운 전설까지 깊이 있게 소개합니다. 한국 불교의 숨결이 살아 숨 쉬는 사찰의 매력을 지금 만나보세요.

 

 

6. 보림사(寶林寺) 

신라 말 유행한 구산선문(九山禪門) 중 하나인 가지산문(迦智山門)의 종찰인 보림사(寶林寺)는 대한불교조계종 제21교구 본사 송광사의 말사로, 선종 9산 중 가장 먼저 개산한 산문이며, 천 년 넘는 세월을 품은 남도 불교의 대표 고찰입니다. 원래 보림사는 원표대덕이 지내시던 가지산사이었으나, 이후 860년 신라 헌안왕(憲安王)에게 권유를 받아 보조선사(普照禪師) 체징(體澄)이 이 사찰을 창건하게 되었으며, 체징은 도의대사와 염거선사의 법맥을 이어 가지산문의 제3조가 되었습니다. 체징 사후에 헌강왕은 사액을 보내 보림사라 하였고, 인도 가지산의 보림사, 중국 가지산의 보림사와 더불어 동양의 3대 보림사로 불리게 되었습니다. 가지산 보림사는 현존하는 사찰 중 유일하게 개산조의 승탑과 탑비, 당시 조성된 불상과 석탑, 석등이 모두 온전하게 남아있어 신라 후기 불교문화의 정수를 보여주는 귀중한 문화유산이며, 조선 후기 중수 기록들이 상세히 남아 있어 조선 후기 사찰 운영에 관한 연구에도 중요한 자료가 됩니다. 보림사에는 국보 2점과 보물 8점이 있으며, 국보에는 남북 삼층석탑 및 석등, 철조비로자나불좌상이 있고, 보물에는 동·서 승탑, 보조선사탑·탑비, 사천왕상 등이 포함됩니다. 보림사로 가는 길에는 가지산 자락의 울창한 비자나무 숲과 차밭, 그리고 1200년 전부터 만들어온 유서 깊은 발효차 청태전이 있는데, 비자나무 숲은 150년 이상의 노거수가 많아 고즈넉한 분위기 속에서 삼림욕을 즐길 수 있으며, 숲길은 '청태전 티로드'라고도 불립니다.

 

※선종9산: 신라 말기부터 고려 초기에 걸쳐 형성된 선종의 9개 산문으로, 가지산문 (迦智山門)· 실상산문 (實相山門)· 동리산문 (桐裡山門)· 사굴산문 (闍崛山門)· 봉림산문 (鳳林山門)· 희양산문 (曦陽山門)· 사자산문 (獅子山門)· 성주산문 (聖住山門)· 수미산문 (須彌山門) 등이 있으며, 이는 중국에서 전래된 선종을 신라의 여러 지역에 맞게 수용한 결과물입니다. 선종(禪宗)이란 참선 수행으로 깨달음을 얻는 것을 강조하는 대승불교의 한 종파로, 조계종· 천태종 등이 선종에 속합니다.

 

◆옛부터 서역, 중국, 동방에 하나씩 있지만 모두 하나인 가지산(迦智山) 보림사(寶林寺)의 동방편 연기설화입니다. 서역· 중국과 상응한 동방의 한 연못에 아홉 마리의 용이 살고 있었습니다. 원표대덕이 이 지역을 떠돌다 방장산 제일 상봉 천왕의 딸 ‘선아(仙娥)’를 만나게 되었고, 그녀는 오래전부터 이곳을 지켜온 신성한 존재였습니다. 선아가 아홉마리 용과의 공생에 어려움이 있다고 피력하자 원표가 범문(梵文)을 외우며 부적을 연못에 던져 여덟 마리 용을 떠나게 했습니다. 마지막 남은 흰 용 하나가 저항하자 신력을 이용해 결국 물러나게 했지만 이후 하늘과 땅이 열리며 폭우가 내려 연못이 불어 넘쳐났습니다. 결국 선아의 도움으로 비는 그치고, 마을 사람들의 도움으로 연못이 흙과 모래로 메워지며, 이 자리에 나한의 성상을 모셔 절을 창건하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완성된 사찰이 바로 ‘가지산 보림사’이며, 신성한 기운을 모신 괴화당(魁花堂)도 함께 세워졌습니다.<국사편찬위원회>

 

<장흥 가지산보림사 경내지도>

 

◆주요전각과 불상◆

선열당
禪悅堂
 스님들이 참선(參禪)하고 수행하며 생활하는 공간입니다.
명부전
冥府殿
앞3칸·옆2칸 다포계 팔작지붕;  지장전 또는 시왕전으로도 불리는 전각으로, 불단에  봉안된 지장삼존불을 중심으로 시왕이 모셔져 있으며, 지붕 용마루에는 가운데 사자상을 중심으로 양옆으로 생동감 넘치는 용 두 마리가  길게 뻗어 있어 마치 날아갈 듯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선방
禪房
승려들이 참선을 위해 사용하는 공간입니다.
미타전
彌陀殿
앞3칸·옆1칸 맞배지붕; 극락전의 다른 말로, 극락전 주불인 아미타불의 이름을 따서 미타전이라고 하며, 전의상암지 석불입상(전남유형문화재191호)을 봉안하고 있습니다. 이는 장흥읍 제암산 중턱에 있는 의상암 절터에 있던 것을 1994년에 보림사로 옮겨온 것으로, 몸 뒤의 광배(光背)와 목 부분에 약간의 파손이 있고, 계란형 얼굴에 높은 머리묶음, 가슴 위까지 내려온 U자형 주름, 양 팔 옷자락의 물결 모양 주름 등으로 보아 9세기 후반 통일신라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아미타여래의 수인처럼 오른손의 엄지와 검지를 맞대고 있습니다.
조사전
祖師殿
앞3칸·옆1칸 맞배지붕; 존경받는 승려의 영정을 모신 전각으로, 국사전 또는 영각이라고도 불리며, 안에 보조선사(普照禪師)· 도의선사(道義禪師) · 염거선사(廉居禪師)의 진영을 모시고 있으며, 좌우 벽에는 각각 보우화상(普愚和尙)과 매화보살(梅花菩薩)의 진영을 봉안하고 있습니다.
보조선사탑
普照禪師塔
보물157호; 보조선사창성탑;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시대에 보림사를 개창한 보조선사 체징의 사리를 봉안한 불탑으로, 높은 8각 지대석(地臺石) 상면에 가장자리를 따라 매우 낮은 각형(角形) 1단 받침을 마련하고 그 위에 세웠는데, 바닥돌부터 지붕돌까지 모두 8각으로, 통일신라 탑의 일반적인 모습입니다. 기단의 아래받침돌에는 구름무늬를 조각하였고 가운데받침돌은 아래위로 띠를 두른 모습이며, 8개의 큰 연꽃조각 위에 놓여진 탑신의 몸돌은 앞·뒷면에 문짝 모양을, 그 양 옆에는 사천왕상(四天王像)을 새겼으며, 두터워 보이는 지붕돌은 밑면에 서까래를 표현해 놓았고 윗면에는 기왓골이 깊게 파여져 있습니다. 꼭대기에는 복발(覆鉢:엎어놓은 그릇모양의 장식), 보륜(寶輪:바퀴모양의 장식), 보주(寶珠:연꽃봉오리모양의 장식) 등이 차례로 놓여 있습니다.
보조선사탑비
普照禪師塔碑
보물158호; 보조선사창성탑비; 보조선사 지선(智詵)의 탑비로, 그의 입적 4년 만인 884년에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과 함께 조성되었으며, 비문은 김영(金穎)이 짓고, 글씨는 김원(金薳)과 김언경(金彦卿) 썼으며, 글자는 승려 현창(賢暢)이 새겼다고 합니다. 비신을 받고 있는 귀부는 얼굴이 용두같고, 귀갑문이 등 전체를 덮고 있으며, 등 가운데 비좌가 설치되어 비신을 받고 있습니다. 
대웅보전
大雄寶殿
앞5칸·옆4칸 다포계 팔작지붕; 보림사의 두 중심법당 중 하나로, 겉으로만 2층인 건물이며, 불단에 7불상을 모시고 있는데, 삼존불로 금동석가여래좌상과 좌우협시불인 약사불· 아미타불을 모시고 있으며, 석가여래 바로 옆 좌우협시보살로 문수보살·보현보살, 그리고 가장 바깥쪽 좌우협시보살로 관세음보살·지장보살을 모시고 있습니다. 불상을 바라보면(지장보살·아미타여래·보현보살·석가여래·문수보살·약사여래·관세음보살)
삼성각
三聖閣
앞3칸·옆1칸 주심포 맞배지붕; 산신·칠성·독성을 모신 전각으로, 각각 재물, 수명, 복을 관장하는 삼신신앙에서 유래합니다.
보림사 우물 한국자연보호협회에 의해 '한국의 명수'로 지정된 약수 1급의 감로수입니다. 보림사 약수는 죽음을 살리는 샘으로 유명하며, 어느 날 막 죽어가는 송사리를 꺼내서 약수에 담갔더니 그 송사리가 곧바로 몸을 추스리고 일어나서 헤엄을 쳤다고 하는 일화가 전해집니다.
범종루
梵鐘樓
앞3칸·옆2칸 주심포 맞배지붕; 법고·범종·목어·운판 등 의식용 불전사물이 있는 누각입니다. 
대적광전
大寂光殿
앞5칸·옆5칸 다포계 팔작지붕; 사천문과 마주보며 있는 전각으로, 철조비로자나불좌상(국보117호)를 봉안하고 있습니다. 높이 273㎝의 이 불상은 광배(光背)와 대좌는 없고 불신만 남아 있으며, 왼쪽 어깨 부분에 8행의 불상 조상기가 음각되어 있고, 왼쪽 팔뚝 뒤에 신라 헌안왕 2년(858년)에 만들었다는 글이 새겨져 있어서 정확한 조성연대를 알 수 있는 불상입니다.
[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 산스크리트어 '바이로차나(vairocana)'에서 유래하며, '광명이 온 세상을 두루 비춘다'는 뜻으로, 《화엄경》의 주존불이며, 온 세상의 모든 존재가 비로자나불의 화신으로 여겨질 정도로 우주 만물을 포용하며, 부처님의 무한한 지혜와 광명을 나타냅니다. 부처님의 모습인 법신(法身), 보신(報身), 화신(化身) 중 가장 근원적인 진리를 나타내는 법신에 해당하고, 노사나불(盧舍那佛)이라고도 부르며, 비로자나불을 모신 전각은 대적광전(大寂光殿), 대적전(大寂殿), 대비로전(大毘盧殿), 비로전(毘盧殿), 화엄전(華嚴殿), 대광명전(大光明殿), 대광보전(大光寶殿) 등으로 부릅니다.]
남·북삼층석탑및석등 국보44호; 대적광전 바로 앞에 위치한 통일신라의 유물로, 남북의 두 탑은 구조와 크기가 같고, 2단으로 쌓은 기단(基壇)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놓고 머리장식을 얹은 통일신라의 전형적인 석탑입니다. 기단은 위층이 더 크고 위층 기단의 맨윗돌은 매우 얇으며, 몸돌(탑신석)과 지붕돌(옥개석)이 각각 하나의 돌로 된 탑신부는 2·3층 몸돌에 새긴 모서리기둥은 희미하게 나타나고, 지붕돌은 밑면의 받침이 5단 계단형이며, 기단의 맨윗돌과 같이 얇고 평평한 처마는 네 귀퉁이는 심하게 들려있어 윗면의 경사가 급해 보입니다. 석등 역시 신라의 전형적인 모습으로, 네모꼴의 바닥돌 위에 연꽃무늬를 새긴 8각의 아래받침돌을 얹고, 그 위에 가늘고 긴 기둥을 세운 후, 다시 윗받침돌을 얹어 불을 밝혀두는 화사석(火舍石)을 받쳐주도록 하였는데, 8각 화사석은 4면에만 창을 뚫어 놓았고, 그 위로 얹은 넓은 지붕돌의 각 모서리 끝부분에 꽃장식을 하였으며, 석등의 지붕 위에는 여러 장식들이 놓여 있습니다. 이들 석탑과 석등은 모두 완전한 형태를 지니고 있으며, 특히 탑의 머리장식은 온전하게 남아 있는 예가 드물어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습니다. 
사천문
四天門
앞3칸·옆2칸 다포계 맞배지붕; 전남유형문화재85호; 사찰로 들어서는 3문(三門) 중 일주문 다음에 위치하는 산문(山門).으로, 불법을 수호하는 사천왕인 지국천왕·관목천왕·증장천왕·다문천왕을 봉안하여 사찰의 대문 역할을 하는 문루이며,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 사천왕상(보물1254호)이 봉안되어 있고, 사천왕의 몸속에는  보물로 지정된 『월인석보』, 『금강경삼가해』 등 총 227종 345권의 불교 관련 서적이 보관되어 있습니다.
외호문
外護門
앞1칸 다포계 팔작지붕; 사찰의 첫번째 산문(山門).인 보림사의 일주문(一柱門)으로, 가지산보림사(迦智山寶林寺)라 쓴 편액이 걸려있으며, 안쪽에는 선종대가람(禪宗大伽藍)이라 쓴 편액이 걸려있습니다.
동승탑
東僧塔
보물155호; 보림사 동쪽 숲에 위치한 8기의 부도(승려의 묘탑) 중 가장 뛰어난 작품으로, 승려의 사리를 두는 탑신(塔身)을 중심으로 아래에는 3단의 기단(基壇)을 두고 위로는 머리장식을 얹었는데, 각 부분이 8각으로 깍여져 있습니다. 3단 기단의 맨아랫단과 맨윗단에는 8잎의 연꽃잎을 둘러 새기고 각 귀퉁이마다 꽃장식을 얹고 가운뎃단는 8각의 기둥을 낮게 두었으며, 탑신은 한 면에만 자물쇠가 달린 문짝 모양을 새기고, 지붕돌은 다른 부분에 비해 좁고 낮은 편이며, 꼭대기의 머리장식은 중간에 둥근 기둥을 세우고, 위아래를 나누어 장식하였습니다. 이는 통일신라 형식에 고려시대의 특징이 어우러진 작품으로, 승탑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습니다. 
서승탑
西僧塔
보물156호; 보림사의 서쪽, 보현암 안에, 한 집의 앞뒤로 자리한 2기의 부도로, 한 승탑은, 전체적으로 8각의 평면을 이루고 있으며, 네모반듯한 바닥돌 위로 3단의 기단을 세우고 그 위에 탑신과 지붕돌을 얹은 모습입니다. 기단은 2겹 연꽃무늬가 새겨진 아래받침돌, 모서리마다 장식이 있는 가운데받침돌, 8장의 연꽃잎이 새겨진 윗받침돌로 이루어졌으며, 탑신은 몸돌의 한쪽 면에 문짝 모양을 새기고 그 안에 자물쇠와 문고리 2개를 본떠 조각해 두었으며, 지붕돌은 윗면의 경사가 꽤 급하고 8곳의 귀퉁이마다 살짝 들려있습니다. 또 다른 승탑은 기단의 가운데받침돌에 장식이 없고, 윗받침돌이 오른쪽 승탑보다 얇고 넓다는 점이 다르며, 탑신의 몸돌 한 면에는 자물쇠가 달린 문짝을 새겼으며, 지붕돌은 대부분 깨어져 있습니다. 위의 승탑이 완전한 형태를 지니고 지나치게 장식적인데 비해, 이 승탑은 우아하긴 하나 장식성이 떨어져 전체적으로 위축된 것처럼 보입니다.
부속암자 동암지· 성전암지· 삼성암지· 송대암지· 일명암지· 남암지· 포판암지

주소: 전라남도 장흥군 유치면 보림사로 224(봉덕리 45), 전화번호: 061-864-2055

 

 

♣이상으로 전라남도에서 꼭 가봐야 할 사찰 6곳 중 장흥 가지산 보림사에 대한 정보를 안내해 드렸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민속대백과사전, 한국불교문화포털, 국가유산포털,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역사문화유산, 지역N문화, 불교신문, 법보신문, 네이버지식백과/사전, 위키피디아>

<국가유산청: 철조비로자나불좌상·남북삼층석탑및석등·서승탑·석등·보조선사탑>